SEARCH
닫기

소개
갑작스런 사고로 골절이나 외상을 입은 환자에 대한
즉각적이고 전문적인 응급 진료를 담당합니다.
타과와의 유기적인 협진 체계를 갖추어 각 과별 임상 전문의와 함께 환자 개인별 증상에 맞는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진료와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 정형외과 박일성 원장 : (월~토)
  • 2정형외과 우성환 원장 : 650-2506 (월/수/금)
  • 3정형외과 박영훈 원장 : 650-2505 (화/목/토)
  • 6정형외과 유승현 원장 : 650-2507 (화/목/토)
  • 7정형외과 이준엽 원장 : 650-2570 (화/목/토)
  • 8정형외과 김보선 원장 : 650-2502 (월/수/금)
  • 9정형외과 차동혁 원장 : 650-2502 (화/목/토)
  • 1신경외과 서승권 원장 : 650-2537 (화/목/토)
  • 2신경외과 최정길 원장 : 650-2536 (월/수/금)
골절의 치료과정

골절 시 부러진 뼈에 의해 신경이나 혈관 등에 이차 손상을 입어 위급한 상황이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가벼운 골절이라도 신속하게 전문의의 진단을 받고 치료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골절 발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골절된 뼈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입니다. 보통 부목 등을 대어 간이 고정을 하는 경우가 많으나 처치 중 무리하게 움직이면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급차 등의 도움을 신속하게 요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골절된 뼈의 치료

골절치료는 골절된 뼈를 정상적인 위치로 되돌리고, 그 기능 및 미관을 가능한 정상에 가깝도록 회복시켜 본래의 생활로 복귀시키는 데 있습니다.
골절은 환자의 연령, 전신상태, 손상정도, 손상부위 및 합병증의 유무에 따라 가벼운 처치만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경우부터 관혈적 정복 및 금속 내 고정을 요하는 경우까지 여러 가지 치료방법이 있습니다.

재활

골유합이 되면 석고붕대나 석고부목 등의 외부 고정물을 제거하고, 관절운동을 시행함과 동시에 손상된 사지의 기능 회복을 위하여 물리치료를 병행하게 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 스스로 능동적으로 운동을 해야 한다는 것이며, 관절 운동 시작 전에 온찜질과 부드러운 마사지 및 전기치료 따뜻한 물에서의 목욕 등은 관절 운동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응급실 당직 진료과목 안내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동아병원은 2012년 8월 5일부터 비상진료체계를 갖추고 당직 진료과목을 다음과 같이 운영합니다.
진료과목
  • 정형외과
  • 신경외과
  • 외과
  • 내과
  • 산부인과
  • 응급의학과
  • 마취통증의학과
  • 영상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

응급실 근무의사(응급의학과 전문의, 전공의,일반의 등)의 의학적 판단에 따라 해당 당직 진료과 전문의 진료요청(호출)시 전문적인 응급진료를 실시합니다.
동아병원 응급실은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진료를 실시합니다.

응급실 : 062-650-2999/2515